프로그래머스 64065번 문제인 "튜플" Lv.2을 파이썬으로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.
[프로그래머스] 튜플 Lv.2 - [파이썬/python]
💻 문제 설명
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(tuple)이라고 합니다.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-튜플(n-tuple)이라고 하며,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- (a1, a2, a3, ..., an)
튜플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.
- 중복된 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. ex : (2, 3, 1, 2)
- 원소에 정해진 순서가 있으며, 원소의 순서가 다르면 서로 다른 튜플입니다. ex : (1, 2, 3) ≠ (1, 3, 2)
- 튜플의 원소 개수는 유한합니다.
원소의 개수가 n개이고,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 (a1, a2, a3, ..., an)이 주어질 때(단, a1, a2, ..., an은 자연수), 이는 다음과 같이 집합 기호 '{', '}'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- {{a1}, {a1, a2}, {a1, a2, a3}, {a1, a2, a3, a4}, ... {a1, a2, a3, a4, ..., an}}
예를 들어 튜플이 (2, 1, 3, 4)인 경우 이는
-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 이때, 집합은 원소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으므로
-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- {{2, 1, 3, 4}, {2}, {2, 1, 3}, {2, 1}}
- {{1, 2, 3}, {2, 1}, {1, 2, 4, 3}, {2}}
는 모두 같은 튜플 (2, 1, 3, 4)를 나타냅니다.
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집합이 담긴 문자열 s
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s
가 표현하는 튜플을 배열에 담아 반환(return)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🚨 제한사항
s
의 길이는 5 이상 1,000,000 이하입니다.s
는 숫자와 '{', '}', ','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- 숫자가 0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없습니다.
s
는 항상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을 올바르게 표현하고 있습니다.s
가 표현하는 튜플의 원소는 1 이상 100,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- return 하는 배열의 길이가 1 이상 500 이하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.
🌈 힌트
1. 문자열 처리
주어진 문자열 s에서 중괄호를 제거하고, 쉼표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분리하여 숫자들을 추출해야 합니다. 이를 위해 파이썬의 replace와 split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2. 빈도수 계산
추출한 숫자들의 빈도수를 계산해야 합니다. 이를 위해 파이썬의 Counter 클래스나 딕셔너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3. 정렬
빈도수가 높은 순으로 숫자들을 정렬해야 합니다. 이를 위해 파이썬의 sorted 함수와 lambda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[Python] 파이썬 람다(lambda)함수 정리
파이썬에서 람다(lambda)함수는 익명 함수(anonymous function)로서, 한 줄로 간단한 함수를 정의할 때 사용되며, 주로 함수 인자로 전달하거나 간단한 연산을 수행하는 함수를 간결하게 표현할 때 유용
1ets-just-do-it.tistory.com
[Python] 파이썬 정렬 - sorted 함수 정리
파이썬은 매우 유용한 리스트 정렬 기능을 제공하는데, 이 중에서도 sorted 함수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. 이 함수를 통해 리스트를 쉽게 정렬할 수 있으며, 이 글에서는
1ets-just-do-it.tistory.com
[파이썬] 딕셔너리 | dict
파이썬 딕셔너리 / 파이썬 dict / python 딕셔너리 / python dict 파이썬 딕셔너리는 키(key)와 값(value)의 쌍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구조입니다. 리스트나 튜플처럼 순차적인 인덱스가 아닌 고유한
1ets-just-do-it.tistory.com
!!!정답 주의!!!
🌟 소스 코드
🏳🌈 테스트 결과
'코딩테스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 다음 큰 숫자 - Lv.2 (59) | 2023.10.21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] 겹치는 선분의 길이 - Lv.0 (51) | 2023.10.15 |
[프로그래머스] 문자열 곱하기 - Lv.0 (53) | 2023.10.14 |
[프로그래머스] 나누어 떨어지는 숫자 배열 - Lv.1 (55) | 2023.10.14 |
[프로그래머스] 숫자의 표현 - Lv.2 (65) | 2023.10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