파이썬에서 'count()'는 문자열, 리스트, 튜플 등의 시퀀스 타입에서 특정 원소나 문자열이 등장하는 횟수를 세는 메서드(method)입니다. 이 메서드는 해당 원소나 문자열이 시퀀스 내에 몇 번 등장하는지를 반환합니다.
1. 문자열.count() | str.count()
- 문자열에서의 'count()' 메서드는 문자열 안의 문자나 문자열의 개수를 반환합니다.
- 문자열 내의 없는 원소는 0을 반환합니다.
text1 = "abbabba"
print(text1.count("a")) # 출력: 3
# 문자열 내의 문자열의 개수도 반환함
text2 = "bcaabc"
print(text2.count("bc")) # 출력: 2
# 문자열 내에 없는 원소는 0을 반환함
text3 = "abcde"
print(text3.count("z")) # 출력: 0
2. 리스트.count() | list.count()
- 리스트에서의 'count()' 메서드는 리스트 안의 원소의 개수를 반환합니다.
- 리스트 내의 없는 원소는 0을 반환합니다.
list1 = [1,1,1,2,2,3,3,3]
print(list1.count(1)) # 출력: 3
list2 = ["a","a","a","b","b"]
print(list2.count("b")) # 출력: 2
# 리스트 내의 없는 원소는 0을 반환함
list3 = ["a","b","c",1,2,3]
print(list3.count(0)) # 출력: 0
3. 튜플.count() | tuple.count()
- 튜플에서의 'count()' 메서드는 리스트 안의 원소의 개수를 반환합니다.
- 튜플 내의 없는 원소는 0을 반환합니다.
tuple1 = (1,1,1,2,2,3,3,3)
print(tuple1.count(1)) # 출력: 3
tuple2 = ("a","a","a","b","b")
print(tuple2.count("b")) # 출력: 2
# 튜플 내의 없는 원소는 0을 반환함
tuple3 = ("a","b","c",1,2,3)
print(tuple3.count(0)) # 출력: 0
※ 주의사항
- 집합(set())은 'count()'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.
- 딕셔너리(dict())는 'count()'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.
- 집합(set())과 딕셔너리(dict())를 사용하실경우 리스트(list)로 변환 후 사용가능합니다.
# 집합 개수 세기
set1 = {1,2,3,4,5}
print(list(set1).count(1)) # 출력 결과: 1
# 딕셔너리 값(dict.values())들 개수 세기
dict1 = {'a': 2, 'b': 3, 'c': 2, 'd': 1}
print(list(dict1.values()).count(2)) # 출력 결과: 2
728x90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] islower | isupper (32) | 2023.09.28 |
---|---|
[파이썬] title | capitalize (38) | 2023.09.28 |
[파이썬] swapcase (50) | 2023.09.28 |
[파이썬] f 문자열 | f string (62) | 2023.09.28 |
[파이썬] 딕셔너리 | dict (34) | 2023.09.28 |